부산이 드디어 세계적인 문화유산 도시로 다시 한번 자리매김합니다.
대한민국이 2026년 7월 열리는 제48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World Heritage Committee)의 개최국으로 최종 선정되었기 때문입니다. 이번 결정은 지난 7월 15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47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공식 발표됐습니다.
📌 한국에서 최초! 세계유산위원회 부산 개최
✔ 세계유산위원회는 전 세계 196개국 대표단과 유네스코 사무총장, 문화유산 전문가 등 약 3,000명이 참석하는 대규모 국제회의입니다.
✔ 그동안 아시아에서는 일본(1998년), 중국(2004년·2021년)에서 열린 적은 있었지만, 우리나라에서 개최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 특히, 부산은 지난 6월 30일 국내 선정 절차를 통해 개최 도시로 확정되며, 세계인이 찾는 글로벌 문화도시로의 위상을 다시 한번 확인했습니다.
🏛️ 대한민국, 의장국으로 위원회 운영 주도
이번 회의에서 우리나라는 의장국 역할까지 맡게 됩니다.
✔ 즉, 내년 부산에서 열리는 제48차 위원회 기간 동안 의장단은 회의 일정과 의사 진행, 주요 안건 조정 등 핵심 임무를 수행합니다.
이는 단순한 장소 제공을 넘어 우리나라가 세계유산 보존·보호 논의의 중심에 선다는 의미가 있습니다.
🏯 왜 세계유산위원회가 중요한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는 1972년 채택된 "세계문화 및 자연유산 보호 협약(세계유산협약)"을 바탕으로 매년 개최됩니다.
✔ 전 세계 문화유산과 자연유산의 등재·보존·관리에 관한 가장 중요한 의사결정을 내리는 자리입니다.
✔ 대한민국은 1988년 세계유산협약에 가입했으며 현재 네 번째 위원국(임기 2023~2027)으로 활동 중입니다.
✔ 석굴암·불국사·종묘 등 한국의 대표적인 세계유산이 올해로 등재 30주년을 맞이한 시점이라 더욱 의미가 큽니다.
🇰🇷 문화강국 대한민국, 세계에 알린다
대통령실 강유정 대변인은 “이번 부산 개최는 대한민국을 글로벌 문화 강국으로 다시 알리는 역사적 순간”이라며,
“세계유산은 과거와 현재, 미래를 잇는 소중한 문화자산으로, 기후위기와 도시화 속에서도 지속적인 보호가 필요하다”라고 강조했습니다.
국가유산청과 부산광역시는 이번 행사를 통해 세계 각국 문화유산 전문가와 교류를 강화하고,
우리 문화유산의 보존 가치와 정책 역량을 전 세계에 알릴 계획입니다.
✅ 부산 개최 기대 효과는?
이번 위원회 개최는 단순한 문화적 의미를 넘어 부산과 국내 관광산업에도 큰 경제적 효과가 기대됩니다.
✔ 약 3,000여 명의 세계유산 관계자들이 부산에 방문하며 숙박, 교통, 음식, 관광 등 지역 경제 전반에 활기를 불어넣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 또한 대한민국이 의장국으로서 세계유산 보존에 앞장서는 이미지를 강화하고, 향후 유네스코 관련 국제회의 유치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것입니다.
✨ 마무리
부산에서 열릴 제48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그 의미는 단순한 국제회의를 넘어 글로벌 문화 리더로서 대한민국의 위상을 높이는 역사적 전환점이 될 것입니다.
앞으로 1년간 준비 과정을 통해 대한민국의 문화유산 정책과 도시 브랜드가 어떻게 성장할지 기대해 봅니다.
📌 참고
- 세계유산협약 가입 연도 : 1988년
- 우리나라 대표 세계유산 : 석굴암, 불국사, 종묘 등
- 의장국 임기 : 2023~2027년
🌈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 + 댓글 + 구독 부탁드립니다!
✍️ 다음 포스팅은?
"📈 키 크는 주사” 요즘 뜨거운 관심 과연 효과적일까"
📱 모바일에서도 쉽게 접속 가능합니다!
'[정부정책]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민생회복 상생페이백], 놓치면 손해! (지급일, 조건, 사용처 총정리) (0) | 2025.07.17 |
---|---|
[2025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처·주의사항 총정리 (한눈에 보기) (0) | 2025.07.17 |
🛎️ “[동네사장님], 공과금·4대보험 50만 원 부담 덜어드립니다!” (0) | 2025.07.15 |
[신생아도 소비쿠폰] 받을 수 있을까? 민생회복 소비쿠폰 10문 10답 총정리 (0) | 2025.07.15 |
[RE100이란?] ESG경영·탄소중립 시대 기업의 필수 전략 (0) | 2025.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