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민국에는 총 228개 지방자치단체가 있으며, 이는 광역자치단체 17곳과 기초자치단체 226곳(시·군·구)으로 나뉩니다. 각 지자체장의 연봉은 행정안전부의 공무원 보수 규정에 따라 결정되며, 인구 규모와 행정 등급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또한, 기초자치단체장은 특례시 시장(4곳), 일반시 시장(75곳), 군수(82곳), 구청장(69곳)으로 구성됩니다. 연봉은 특례시 > 일반시 > 군·구청장 순으로 차등 적용됩니다.
대한민국에서 도지사, 시장, 군수 등 지방자치단체장의 연봉은 정부가 정한 공무원 보수 규정에 따라 책정됩니다. 2024년 기준으로 이들의 연봉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광역자치단체장(도지사, 특별시·광역시 시장) 연봉
✅광역자치단체장은 서울특별시장, 6개 광역시장(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8개 도지사(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특별자치도지사, 세종특별자치시장을 포함합니다.
- 2024년 기준 연봉: 약 1억 4,000만 원
- 월 급여로 환산하면 약 1,160만 원
- 연봉에는 기본급, 직급보조비, 정액급식비, 관리업무수당 등이 포함됩니다.
📢 ※ 서울특별시장은 인구와 예산 규모가 크기 때문에 약간 더 높은 연봉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기초자치단체장(시·군·구청장) 연봉
✅ 기초자치단체장은 일반 시 시장, 군수, 자치구청장을 포함합니다.
- 2024년 기준 연봉: 약 1억 1,000만 원 ~ 1억 2,000만 원
- 월 급여로 환산하면 약 900만 원 ~ 1,000만 원
- 기초자치단체의 인구나 지역 규모에 따라 차이가 있음
📢 ※ 예를 들어, 인구가 많은 수원시, 고양시, 성남시 같은 대도시의 시장은 연봉이 상대적으로 높고, 인구가 적은 군 지역의 군수는 이보다 낮은 편입니다.
3. 추가 수당 및 혜택
✅ 성과급 개념은 없으며 공무원 급여 기준에 따라 연봉이 책정됩니다. 이러한 연봉은 매년 정부의 공무원 보수 규정에 따라 조정될 수 있습니다.
- 공무원 연금 가입
- 관용차 및 운전기사 지원
- 해외 출장비 지원
- 업무 수행을 위한 활동비 지급
📢 ※ 대한민국의 지방자치단체장(광역자치단체장 및 기초자치단체장) 연봉은 정부의 공무원 보수 규정에 따라 결정됩니다.
4. 광역자치단체장 연봉 (도지사·광역시장·특별시장)
✅ 광역자치단체장은 서울특별시장, 광역시장(부산·대구·인천·광주·대전·울산), 도지사(경기·강원·충북·충남·전북·전남·경북·경남), 제주·세종특별자치시장이 포함됩니다.
지자체 | 2024년 연봉 | 월 급여 (세전) |
서울특별시 | 1억 4,200만 원 | 약 1,183만 원 |
부산광역시 | 1억 3,900만 원 | 약 1,158만 원 |
대구광역시 | 1억 3,900만 원 | 약 1,158만 원 |
인천광역시 | 1억 3,800만 원 | 약 1,150만 원 |
광주광역시 | 1억 3,700만 원 | 약 1,141만 원 |
대전광역시 | 1억 3,600만 원 | 약 1,133만 원 |
울산광역시 | 1억 3,600만 원 | 약 1,133만 원 |
경기도 | 1억 4,100만 원 | 약 1,175만 원 |
강원특별자치도 | 1억 3,500만 원 | 약 1,125만 원 |
충청북도 | 1억 3,500만 원 | 약 1,125만 원 |
충청남도 | 1억 3,500만 원 | 약 1,125만 원 |
전라북도 | 1억 3,400만 원 | 약 1,116만 원 |
전라남도 | 1억 3,400만 원 | 약 1,116만 원 |
경상북도 | 1억 3,400만 원 | 약 1,116만 원 |
경상남도 | 1억 3,400만 원 | 약 1,116만 원 |
제주특별자치도 | 1억 3,300만 원 | 약 1,108만 원 |
세종특별자치시 | 1억 3,300만 원 | 약 1,108만 원 |
5. 기초자치단체장 연봉 (시·군·구청장)
✅ 기초자치단체장은 일반시 시장, 군수, 자치구청장이 포함됩니다. 또한,연봉은 해당 지자체의 인구 및 규모에 따라 차이가 납니다.
1-1) 특례시는 인구 100만 명 이상 도시로 광역시에 준하는 대우를 받습니다.
✅ 인구 100만 명 이상 대도시 시장 (특례시)
지자체 | 2024년 연봉 (예상) | 월 급여 (세전) |
수원특례시 | 1억 2,500만 원 | 약 1,041만 원 |
고양특례시 | 1억 2,400만 원 | 약 1,033만 원 |
용인특례시 | 1억 2,400만 원 | 약 1,033만 원 |
창원특례시 | 1억 2,300만 원 | 약 1,025만 원 |
✅ 일반시 시장 연봉 (인구 50만 명 이상)
지자체 | 2024년 연봉 (예상) |
성남시 | 1억 1,800만 원 |
부천시 | 1억 1,700만 원 |
청주시 | 1억 1,600만 원 |
안양시 | 1억 1,500만 원 |
✅ 군수 연봉 (인구 10만 명 이하)
지자체 | 2024년 연봉 (예상) |
강원도 양구군 | 1억 500만 원 |
전남 보성군 | 1억 500만 원 |
경북 울릉군 | 1억 500만 원 |
6. 추가 혜택 및 특수 수당
- 관용차 및 전용 운전기사 제공
- 업무추진비 (월 500~1,000만 원) 지원
- 정액급식비, 직급보조비, 관리업무수당 지급
- 퇴직 후 공무원연금 적용
7. 결론
✅ 광역단체장(도지사, 광역시장)
- 연봉: 1억 3,300만 원~1억 4,200만 원
- 서울시장, 경기도지사가 가장 높은 연봉
✅ 기초단체장(시장, 군수, 구청장)
- 특례시 시장: 약 1억 2,500만 원
- 일반시 시장: 약 1억 1,500만 원
- 군수: 약 1억 500만 원
📢 ※ 광역단체장과 기초단체장의 연봉은 지역 규모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서울특별시장과 경기도지사가 가장 높은 연봉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