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새출발기금 신청 대상자 안내’ 등의 문구로 개인정보·심사비용 납부를 유도하는 사칭 문자(스미싱) 및 보이스피싱 사례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새출발기금 및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는 문자, 전화로 광고, 개인정보 요구, 금전 요구를 절대 하지 않으며, 심사 비용도 받지 않습니다.
오늘은 새출발기금 사칭 스미싱 및 보이스피싱 특징, 피해 예방법, 신고 및 확인 방법을 정리합니다.
🚨 새출발기금 사칭 스미싱·보이스피싱 사례
최근 사례
✅ “새출발기금 신청 대상자”로 선정되었다며 문자 발송
✅ 문자 내 링크 클릭 유도 → 개인정보 입력 유도
✅ 전화로 심사 비용, 보증금, 수수료 요구
✅ 미납 시 불이익 및 압류 협박
모두 ‘사기’입니다.
❌ 새출발기금은 절대 이렇게 하지 않습니다.
✅ 새출발기금 및 캠코는 문자·전화로 광고하거나 개인 정보를 요구하지 않습니다.
✅ 심사 비용, 수수료, 보증금 등 어떠한 명목으로도 금전을 요구하지 않습니다.
✅ 홈페이지(새출발기금.kr), 콜센터(☎1660-1378)를 통해서만 정식으로 안내합니다.
🔒 피해 예방법
✅ 출처가 불분명한 문자·링크 클릭 금지
✅ 전화로 개인 정보(주민번호, 계좌, OTP 등) 요구 시 즉시 통화 종료
✅ “새출발기금” 관련 연락을 받았다면 반드시 공식 콜센터(☎1660-1378)로 확인
✅ 의심되는 번호, 링크는 스미싱 여부를 확인 후 즉시 삭제
🛡️ 피해 발생 시 대처 방법
만약 링크 클릭, 개인정보 입력, 송금 등의 피해가 발생했다면:
✅ 즉시 해당 은행 고객센터에 전화해 계좌 지급 정지 요청
✅ 경찰청(☎112) 또는 금융감독원(☎1332)에 신고
✅ 가까운 경찰서 방문 및 피해 접수
☎️ 새출발기금 공식 연락처
- 홈페이지 : 새출발기금.kr
- 콜센터 : ☎1660-1378
- 신용회복위원회 : ☎1600-5500
의심스러우면 반드시 공식 번호로 확인 후 대응하세요.
코로나 이후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서민·소상공인들을 위한 새출발기금 제도를 악용한 사기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 새출발기금은 심사 비용이나 보증금을 요구하지 않으며, 문자·전화 광고를 하지 않습니다.
✅ 의심되는 문자, 전화가 오면 절대 응답하지 말고 공식 채널로 확인하세요.
여러분의 소중한 재산과 개인정보를 지키기 위해 이 내용을 가족, 지인과 함께 공유해 피해를 예방하시기 바랍니다.
'[정부정책]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출발기금 지원] 대상·범위 확대 9월부터 달라집니다! (2025 최신) (0) | 2025.07.17 |
---|---|
[2025 민생회복 상생페이백], 놓치면 손해! (지급일, 조건, 사용처 총정리) (0) | 2025.07.17 |
[2025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처·주의사항 총정리 (한눈에 보기) (0) | 2025.07.17 |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한국 첫 개최 내년 부산에서 열리는 의미와 기대 효과는? (0) | 2025.07.16 |
🛎️ “[동네사장님], 공과금·4대보험 50만 원 부담 덜어드립니다!” (0) | 2025.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