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궁금한 [생활정보] 꿀팁

[진짜 수분 보충은 ‘물’]입니다. "5년 새 음료 섭취량 20%"↑…

by 아톰의기적 2025. 6. 9.
728x90
반응형

 

 

커피, 탄산음료, 과일주스, 에너지음료하루에도 몇 번씩 우리는 다양한 ‘음료’를 마십니다.
바쁜 현대인에게 음료는 갈증 해소는 물론, 습관·기호·에너지 보충의 수단이 되었죠.

하지만 우리가 무심코 마시는 음료들 속에는 ‘당’이 숨어 있고,지속적으로 과다 섭취할 경우 비만, 당뇨, 심혈관 질환 등 만성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질병관리청이 2025년 6월 9일 발표한 최근 5년간(2019~2023) 국민 음료 섭취 현황’에 따르면, 우리 국민의 하루 음료 섭취량은 20% 이상 증가한 반면, 수분 보충의 가장 기본이 되는 ‘물’ 섭취는 여전히 부족하다고 합니다.


[진짜 수분 보충은 ‘물’]입니다. "5년 새 음료 섭취량 20%"↑…

1. 하루 평균 음료 섭취량 274.6g… 남성, 30대 가장 많이 마신다.

국민건강영양조사를 통해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23년 우리나라 1세 이상 국민의 하루 평균 음료 섭취량은 274.6g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5년 전인 2019년(223.5g)보다 무려 51.1g, 약 22.9% 증가한 수치입니다.

  • 남성 평균 섭취량 : 300.0g
  • 여성 평균 섭취량 : 247.2g

특히 음료를 가장 많이 마시는 연령대는 "30대(415.3g)"로 하루 평균 2잔 이상(200ml 기준)을 섭취하고 있었고,
그다음은 20대(약 300g대 중반), 40대 순이었습니다.

단순히 '많이 마신다'는 사실보다 더 중요한 것은
무엇을 얼마나 마셨는지, 그리고 그로 인해 당류를 얼마나 섭취했는가입니다.

2. 가장 많이 마신 건 ‘무가당 커피’, 그러나 10대는 여전히 ‘단 음료

2023년 국민이 가장 많이 섭취한 음료는 단연 "무가당 커피(112.1g)"였고, 그 다음은 탄산음료(48.9g), 이온음료, 과일주스, 과일채소음료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흥미로운 점은 최근 5년간 음료 종류별 섭취 변화입니다.

  • 무가당 커피 +28.2g 증가
  • 저칼로리 탄산음료 +17.8g 증가
  • 가당 탄산음료 -8.8g 감소

이는 성인들이 건강을 고려해 당류가 적은 음료로 전환하고 있다는 긍정적 신호입니다.
그러나 여전히 가당 음료의 주 소비층은 존재합니다. 바로 아동과 청소년입니다.

👧 아동 : 과일·채소 음료, 탄산음료 중심

🧑 청소년 : 탄산음료 섭취량 최다

이들은 하루에 두세 잔씩 탄산음료나 단 음료를 마시며, 음료를 통한 당 섭취량이 전 연령대 중 가장 높았습니다.

이는 단순히 칼로리 문제가 아닙니다.
청소년기 가당음료 과다 섭취는 이후 성인기 비만, 당뇨, 대사증후군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진짜 수분 보충은 ‘물’]입니다. "5년 새 음료 섭취량 20%"↑…
2019~2023년 음료 종류별 섭취량(g) 추이. 사진 제공=질병관리청

3. 수분 보충은 ‘’로! 음료는 음식이지, 물이 아닙니다.

질병관리청 지영미 청장은 이번 발표에서 분명히 지적했습니다.

“수분 보충은 반드시 ‘물’로 이루어져야 하며, 음료는 식품의 일부일 뿐입니다.”

우리 몸의 약 60%는 물로 이루어져 있고, 신체 대사, 체온 조절, 노폐물 배출 등 모든 생리작용은 수분 섭취에 달려 있습니다.

그런데, 탄산음료·커피·주스는 수분이 함유되어 있긴 하지만, 카페인, 당, 인공첨가물 등의 이유로 실제 수분 보충 효과가 떨어지고 오히려 탈수나 대사부 담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특히 20~30대는 무가당 커피를 많이 마시면서도, 여전히 가당음료도 함께 섭취하고 있어,
수분을 채우는 데 효과적인 음료 선택이 절실하다고 지적됐습니다.

4. 음료 섭취가 늘었는데, 당류 섭취는 왜 줄었을까?

이번 조사에서 또 하나 흥미로운 점은
전체 음료 섭취량은 증가했지만, 음료를 통한 당 섭취량은 오히려 1.0g 감소했다는 점입니다.

이는 소비자들이 무가당, 저칼로리 음료로 조금씩 전환 중이라는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됩니다.

✔ 무가당 커피 → 설탕 대신 블랙 커피 선택
✔ 저칼로리 탄산 → ‘제로’ 제품 선호
✔ 일부는 직접 물을 준비해 다니며 음료 대체

그러나 이러한 변화는 주로 성인층에 국한되며,
10대와 일부 20~30대는 여전히 설탕이 들어간 음료를 다량 섭취하고 있어 정책적 대응이 필요합니다.

[진짜 수분 보충은 ‘물’]입니다. "5년 새 음료 섭취량 20%"↑…

5. 우리가 지금 실천해야 할 ‘건강한 음료 습관’ 6가지

📌 1. 물을 기본 음료로 삼기
하루에 1.5~2리터의 수분이 필요합니다. 가장 좋은 수단은 물!

📌 2. 제품 라벨의 ‘당류(g)’ 확인하기
음료 구매 시 첨가당 함량을 확인하세요. 1회 제공량 기준 5g 이상이면 주의!

📌 3. ‘제로’ 표시에도 방심 금물
무설탕이라 해도 인공감미료나 첨가물이 들어간 경우가 많습니다.

📌 4. 아이 음료는 부모가 선택
과일주스도 당류가 많습니다. 가능하면 생수, 보리차를 권장하세요.

📌 5. 커피는 블랙으로, 음료는 간식처럼
커피도 시럽, 크림이 들어가면 당류가 급증합니다.

📌 6. 회사·학교에 물병 챙기기
물병을 갖고 다니며 의식적으로 물을 자주 마시는 습관 만들기.


 물은 최고의 음료입니다.

질병관리청은 앞으로도 국민건강통계플러스를 통해
이러한 식생활 및 건강행태 통계를 꾸준히 제공할 예정이며,
가정·학교·사회 모두가 음료보다 물을 선택하는 환경을 만들기 위한 캠페인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건강을 위한 첫걸음은 ‘마시는 습관’에서 시작됩니다.
✅ 오늘부터라도 물 한 잔 더, 음료 한 잔 덜 실천해 보세요!

🌈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 + 댓글 + 구독 부탁드립니다!

 

✍️ 다음 포스팅은?   

"장마, 태풍 오기전 꼭 해야 할 자동차 사전 관리법-10가지"


📱 모바일에서도 쉽게 접속 가능합니다!

 바로가기 ➡️

 


 

 

 

728x90
반응형